지난 2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NBC뉴스 등 현지언론은 플로리다 주 세인트피트 해변에서 촬영된 어미와 아기 새 사진이 네티즌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일 해변에서 촬영된 사진 속 주인공은 검정제비갈매기(Black Skimmer). 이날 어미 새는 먹을 것을 물고 와서 새끼에게 건네는데 그 먹잇감은 다름아닌 담배꽁초다. 미국 자연보호단체인 국립오듀본협회 소속 자원봉사자이자 사진작가인 카렌 메이슨(64)은 "처음에 어미 새가 새끼에게 먹을 것을 주는 장면을 보고 사진을 담았다"면서 "나중에서야 먹잇감이 담배꽁초인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어 "그저 새끼가 담배꽁초를 먹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면서 "제발 함부로 담배꽁초를 버리지 말라"고 당부했다.
문제의 사진이 페이스북에 공유되자 여론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특히 최근들어 경각심이 일고있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쓰레기 못지않게 담배꽁초 역시 자연에 큰 해악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관련 환경보호단체인 '담배꽁초 오염 프로젝트'(The Cigarette Butt Pollution Project)의 주장은 이 지적에 더욱 힘을 싣는다. 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소비된 담배는 총 5조 5000억 개비로 이중 4조 9500억 개비의 꽁초는 그냥 아무데나 버려진다. 특히나 담배꽁초 필터에는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어 이중 일부는 바다로 향한다.
워싱턴의 비영리단체인 트루 이니셔티브 측은 "1980년 대 이후 매년 해안과 도시 정화 작업에서 수집되는 품목 중 30~40%는 담배꽁초"라면서 "꽁초는 지구상에 가장 어질러져있는 쓰레기"라고 밝혔다.
현지언론은 "동물들은 담배꽁초를 음식으로 착각하고 먹을 수 있다"면서 "꽁초 속의 필터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분해되는데 짧게는 18개월에서 10년이 걸려 동물은 이를 소화하지 못하고 서서히 죽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