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포트 맥쿼리 코알라병원은 26일(현지시간) 화상을 입고 치료를 받던 루이스의 연명 치료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병원 측은 코알라의 상태가 호전될 기미가 없었다면서 “병원의 최우선 목표는 동물 복지”라고 안락사 이유를 설명했다.
안락사는 코알라를 구조한 주민 여성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됐다. 여성의 가족은 “부상을 이겨내길 바랐지만 코알라의 상태가 매우 심각했고, 너무 쇠약했다. 상당히 고통스러웠을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14살짜리 수컷 코알라 루이스는 지난 18일 주민 여성에게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다. 당시 인근 도로를 달리던 여성은 불이 붙은 숲에 고립된 루이스를 들쳐 올린 뒤 물로 열을 식혀주고 자신의 셔츠를 벗어 주었다.
그녀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저 본능에 따랐을 뿐이다. 코알라가 불길 속에 갇힐 게 뻔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손자 이름을 코알라에 붙여주는 등 코알라의 쾌유를 기원했지만 상태는 점점 악화됐다. 병원 대변인 역시 코알라의 생존 가능성을 50대 50으로 점쳤다.
24시간 보호 등 정성 어린 치료에도 루이스는 구조 일주일여 만인 26일 먼저 간 다른 코알라들 곁으로 떠나고 말았다.
포브스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개체 수가 급감한 호주 코알라는 더이상 새끼를 낳을 수 없는 ‘기능적 멸종’ 위기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연이은 가뭄에 산불까지 겹치면서 서식지가 크게 줄어든 호주 코알라가 생태계 내에서의 역할을 잃어버리고, 독자적으로는 생존이 불가능한 상태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기능적 멸종’ 단계에서 살아남은 일부 코알라가 번식을 하더라도, 전체 개체 수가 적어 장기적으로는 생존 가능성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질병 위험도 크다.
특히 서식지 파괴로 코알라의 주식인 유칼립투스 숲 대부분이 사라진 것이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