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지는 83년 전인 1936년 지역 내에서 약국을 운영하던 ‘EE 러셀’사가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 관계자는 “기성세대는 물론 젊은이들의 상상력까지 자극한 것 같다”라면서 “우리 삶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일회용 문화를 고려했을 때, 이렇게 오랜 시간 보존된 두루마리 휴지는 여러 생각을 하게 한다”라고 밝혔다.
다만 포장 상태 그대로 보존돼 있어 휴지의 정확한 소재는 공식적으로 파악된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 세기 가까운 세월을 버틴 휴지는 빛이 바래 갈색을 띠며 매우 얇아진 상태다.
휴지 제조사인 EE 러셀은 1911년 이어들리 에드워드 러셀이 레치워스기차역 인근에 설립한 약국에서 시작됐다. 러셀은 이후 하트퍼드셔와 베드퍼드셔에 추가로 17개 지점을 내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이 외에도 밀 그린 박물관이 소장한 1950년대 드레스와 하트퍼드 박물관의 사무라이 갑옷, 머치 해드햄 박물관의 황제펭귄 박제 표본 등이 ‘올해의 소장품’ 후보로 선정됐다.
특히 하트퍼드 박물관의 사무라이 갑옷은 1906년 인류학자이자 선교사 존 배첼러가 기증한 것으로, 일본 홋카이도에서 건너간 것으로 알려졌다. 을사늑약 이듬해인 1906년은 일본이 대한제국에 강제적으로 차관을 도입시키고, 황금어장을 강탈하고, 용산에 군사기지 건설을 시작하는 등 조선 침탈을 노골화한 시기다.
당시 배첼러 박사는 홋카이도에서 메이지 소수 민족인 아이누족 연구에 매진하고 있었다. 메이지 정부는 현재의 아이누족이 살던 현재의 홋카이도에 일본인을 이주시키고 소수민족을 강제로 흡수 또는 동화시키는 작업을 펼쳤다. 박물관 측은 사무라이 갑옷이 상인이나 농부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도록 홋카이도 정착을 강요당한 여러 사무라이 중 한 명의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머치 해드햄 박물관의 황제펭귄 박제 표본은 영국의 유명 극지탐험가 제임스 로스 탐험대가 1839년부터 1843까지 남극대륙을 탐험하면서 가져온 최초의 황제펭귄 표본 중 하나다. 지구의 자북극(磁北極) 발견한 탐험가인 제임스 로스는 남금 탐험에서 얼음에 덮인 고지를 발견해 ‘남빅토리아랜드’라 명명하기도 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