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저우 세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밀수 관련 첩보를 입수한 당국은 1년여의 수사 끝에 10월 말 조직원을 잡아들였다. 세관 측은 지난해 광시좡족자치구 암시장에서 천산갑 비늘이 밀거래된다는 첩보를 입수한 뒤 수사를 이어왔다.
수사 결과 밀수단은 나이지리아에서 사들인 천산갑 비늘을 해외 운반책에게 맡겨 우선 부산으로 밀반입한 뒤 또다른 운반책을 고용해 부산에서 상하이로, 다시 저장성 원저우시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썼다.
이들이 약 11개월 동안 밀수한 천산갑 비늘의 양은 23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산갑 한 마리당 400~600g의 비늘이 나오는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5만 마리의 천산갑이 도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CCTV는 최근 몇 년 사이 적발된 야생동물 밀수 규모 중 최대라고 보도했다.
세관 당국은 킬로그램당 1만3500원~2만5000원에 거래되는 천산갑 비늘이 중국 내 암시장에서는 10배 더 높은 가격에 팔려나간다고 설명했다.
산을 뚫는 갑옷이라는 의미의 천산갑(穿山甲)은 예부터 중국에서 약재로 인기가 높았다. 멸종위기종으로 국제법상 거래가 금지돼 있음에도 천식이나 류머티즘, 암, 콩팥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믿음 때문에 밀수가 끊이지 않고 있다. 홍콩에서는 비늘 1그램당 미국 달러 1달러에 거래될 정도다.
이 때문에 천산갑 개체 수는 21년 만에 기존의 20% 이하로 줄어들었다. 2014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위기 적색목록에 천산갑을 올리는 등 등급을 상향 조정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2004년 이후 약재용으로 도살된 천산갑은 100만 마리 이상이다.
문제는 멸종위기에 내몰릴 정도로 인기가 많은 천산갑이지만 그 약효는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천산갑의 효능이 미신에 불과하며, 비늘도 사람의 손톱과 같은 성분인 케라틴으로 돼 있어서 특별한 효능을 기대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