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4일자 보도에 따르면, 몽테에 본사를 둔 스위스포드는 제네바에서 취리히까지 불과 17분 만에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하이퍼루프 열차 시스템의 개발 계획을 밝혔다.
이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직행으로 약 20분 이내, 중간 역의 정차 시간 등을 합친 실제 소요 시간인 표정속도를 고려해도 약 40분 안에 가는 것과 맞먹는다.
데니스 튜더 스위스포드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창업자는 “앞으로 9개월 안에 시험을 통해 하이퍼루프 기술을 어떻게 구현할지 알 수 있을 것이며 4, 5년 안에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튜더 CEO는 하이퍼루프 열차에 필요한 추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면 시속 1000~1200㎞의 속도로 주행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회사는 프로젝트의 개발 비용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만일 성공하면 하이퍼루프 열차는 실크처럼 매끄럽게 주행하기 위해 곡선 구간 중에는 자동으로 속도를 줄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퍼루프는 멀리 떨어진 곳에 가장 빠른 속도로 승객을 실어나르는 신 기술로 이미 세계 여러 나라의 회사가 개발하고 있다.
미국의 기술자 로버트 고다드가 1910년 처음 제안한 하이퍼루프 개념은 2013년 8월 억만장자 기업가이자 스페이스X의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하이퍼루프의 개념과 세부 계획을 정리한 50쪽짜리 백서 형태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다시 관심을 끌게 됐다.
하지만 스위스포드의 프로젝트는 고속 자율 포드 안에 선형유도전동기(LIM)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는 일반적인 회전형 전동기(모터)와 다르게 직선으로 운동한다.
다른 하이퍼루프 프로젝트에서는 두 세트의 자석을 포함한 ‘마그레브’(자기부상)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나는 포드를 밀어올리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마찰이 없어진 점을 이용해 떠오른 포드를 전진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스 하이퍼루프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는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는 성명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주행에 필요한 에너지는 자기부상 열차와 같이 선로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열차 자체에서 나오게 될 것”이라면서 “열차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선형유도전동기를 장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위스포드와 EPFL은 이 야심찬 프로젝트를 위해 스위스 정부의 보조금을 사용해 얼마 전 초소형 시제 트랙 건설을 마쳤다. 지름 약 40m의 이 원형 시스템은 EPFL 부지 안에 설치돼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실물 시제 열차를 추진하는 선형유도전동기를 시험할 것이다.
마리오 파올론 EPFL 분산전기시스템연구소장은 “이처럼 축소한 시험 트랙을 통해 열차의 전자 추진과 부상 시스템에 관한 기본적인 측면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열차 설계를 개선하고 하이퍼루프 시스템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위스포드는 지난 2019년 튜더 CEO와 시릴 데네레즈 공동 창업자가 설립했다. 두 사람은 스페이스X 하이퍼루프 열차 경진대회에서 여러 번 수상한 이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