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아침, 뉴욕 센트럴 파크 음악공연장 나움버그 밴드쉘에 번쩍이는 황금 큐브가 나타났다. 큐브는 하얀 눈밭과 어우러져 더욱 순진무결한 빛을 자아냈다.
황금 큐브는 독일 현대미술가 니클라스 카스텔로(43) 작품이다. 가운데는 비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세로 각각 45㎝, 황금 두께는 0.64㎝ 정도다.
황금 큐브를 만드는 데는 24캐럿 순금 186㎏이 들어갔다. 순금 1돈이 3.75g이니까 무려 4만 9600돈짜리다. 재료값만 1170만 달러, 한화 약 140억원이 들었다.
삼엄한 보안 속에 전시를 마친 큐브는 같은 날 밤 뉴욕 맨해튼 ‘치프리아니 월스트리트’ 행사장 비공개 만찬에서 또 한 번 빛을 발했다. 밤이 되자 황금큐브는 더 황홀한 빛을 내뿜으며 감탄을 끌어냈다.
‘카스텔로 큐브’로 명명된 작품은 작가가 자신의 이름을 딴 암호화폐 ‘카스텔로’ 출시를 기념하며 만든 홍보작이다. 작가는 “다양한 측면에서 감상할 수 있는 개념적 예술 작품”이라면서 “현실 세계를 초월한 무형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류 역사상 이렇게 많은 양의 금이 하나의 순수한 물체로 존재한 적이 없었다. 태양과 빛, 선을 상징하는 금은 영원하다”고 밝혔다.
1978년 동독에서 태어난 니클라스 카스텔로는 뉴욕과 스위스를 오가며 작품 활동 중이다. 미국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과 장 미셸 바스키아, 독일 신표현주의 거장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영향을 받은 그는 팝아트와 독일 신표현주의를 넘나들며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현대 예술가로 급성장했다.
오스트리아 미술사학자 겸 큐레이터 디터 부차르트는 “예술사상 유일무이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오스트리아 갤러리스트 리사 칸들호퍼는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한 21세기 문화 생태계와 금이 경제를 지했던 고대 세계를 연결하는 일종의 교류 매개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뉴욕의 빈곤을 거론하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익명의 관람자는 “뉴욕의 노숙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170만 달러짜리 큐브를 녹여 그 수익금을 가난한 사람과 집 없는 노숙자에게 나눠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