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중화망 등 다수의 매체들은 중국의 유명 정치평론가 뉴탄진(牛弹琴)의 발언을 인용해 “한국의 출산율은 낙제점을 받았으며 그 이유는 한국 여성의 출산 연령이 갈수록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고 28일 보도했다.
뉴탄진은 이어 “지난해 한국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4세로 전년보다 0.2세 더 많아졌다”면서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경제성장률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시기마다 기복이 있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구 증가율인데 사람들이 모두 사라진 한국의 앞날에 미래가 과연 있을까”라고 꼬집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지난해 기준 한국의 출산율이 전년보다 0.03% 더 떨어진 부부당 0.81명을 기록, 2070년이 되면 한국 인구가 현재 5천 173만 명에서 3천 766만 명으로 급감할 것이라는 데 주목해 중국도 이를 경계해야 한다는 분위기를 조성했다.
실제로 해당 보도가 나간 이날 오전 기준 중국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에는 ‘한국인 출생률 최저치’, ‘한국 세계 최저치 출산율 돌파’ 등의 검색어가 인기 검색어 상위에 링크됐다.
현지 매체들은 한국의 출산율과 관련해 ‘지난 2020년 한국은 이미 한 해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추월했고, 미국, 일본과 함께 인구 성장률 낙제점을 받았다’면서 한국 여성이 아이를 출산하지 않는 이유로 ‘경쟁이 치열한 취업 시장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직업을 취우선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다. 또 한국에는 남아선호 문화와 남녀불평등 문제도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지 매체들은 중국도 한국의 상황을 그저 방관하듯 바라볼 수만은 없는 노릇이라고 주의를 요구했다.
이 매체들은 ‘중국도 만만치 않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 중국은 모두 형제의 나라로, 그들 국가에서 발생한 문제가 곧장 중국에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 출산을 꺼리는 관념이 이 사회에 형성되면 단기간에 변하기 어려울 것이기에 이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록 인도와 아프리카는 빈국이라고 치부될 수 있지만, 이 국가들에게는 많은 수의청년들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각 국가별 중위연령을 공개했다.
매체에 따르면 인구를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지난해 기준, 일본(48세)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이탈리아(47세) △독일(46세) △한국(44세) △프랑스(42세) △영국(41세) △미국(38세) △중국(38세) △인도(28세) 등의 순이었다.
한편, 정치평론가 뉴탄진은 이 결과를 두고 ‘일본, 이탈리아, 한국과 같은 나라들은 이미 중년 국가’라면서 ‘그에 반해 인도는 아직도 혈기 왕성한 젊은 국가다. 인구가 곧 중국을 대체해 세계 제1의 인구 대국이 되는 것은 그저 지켜만 볼 것이냐. 중국 젊은이들은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