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의 농부이자 고산지대 가이드인 사울 루시아노는 바위가 드러난 블랑카 산맥을 손으로 가리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만년설은 (산맥 아래에 있는) 팔카코차 호수로 물을 보내주는 원천”이라며 “이런 식으로 가다간 호수마저 말라버려 농사를 짓는 것도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했다.
여름으로 넘어가는 남반구 국가 페루에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현실감 있게 확인되고 있다. 만년설이 덮여 있던 고산지대가 속살을 드러낸 벌거숭이산으로 변하면서다. 페루는 눈이 내리지 않지만 눈을 구경할 수 있는 국가다. 만년설(빙하)이 덮여 있는 산맥이 18개나 자리하고 있는 덕분이다.
그러나 앞으로 어쩌면 이런 진풍경을 볼 수 없을지 모른다. 페루 생태계ㆍ빙하연구소에 따르면 페루의 만년설은 이미 절반 이상 사라졌다.
연구소가 2018년 마지막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페루 만년설의 53%는 이미 자취를 찾아볼 수 없었다. 연구소는 “지난 20년간 사라진 만년설의 면적이 1200km2에 달한다”며 만년설이 있던 곳은 속살이 드러나 회색빛 바위가 덮고 있다고 밝혔다.
만년설이 녹으면 아름다운 풍경만 사라지는 게 아니라 페루는 당장 물 걱정을 해야 할 수 있다. 생태계ㆍ빙하연구소의 연구원 헤수스 로페스는 “강우량이 적을 때 강과 호수에 물을 대주는 건 다름 아닌 만년설”이라며 “이제 만년설이 사라지게 된다면 페루는 식수 공급에 매우 곤란을 느끼는 시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빙하가 사라지는 건 특정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칠라, 촌타, 라비우다, 우안소 등 페루 전국에서 빙하는 녹아내리고 있다.
담수를 비에만 의존하다 보면 식량안보도 위협을 당할 수 있다. 페루 환경부에 따르면 가뭄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당장 식량 걱정을 할 수 있는 취약계층은 1400만 명으로 추정된다. 로페스는 “물이 없는데 농사를 지을 수 있느냐”며 식량안보 위기는 먼 훗날의 이야기가 아니라 당장 십수 년 내 닥칠 수 있는 현실적 위기라고 말했다.
페루 환경부는 쌀, 감자, 밀, 커피, 옥수수, 바나나, 보리 등 12개종 작물을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할 수 있는 작물로 지정하고 지원과 보호에 나섰지만 물 부족을 해결할 근본적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지 언론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다”며 “일반인들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보도했다.
손영식 남미 통신원 voni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