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포착] 러군 대형 정찰선 공습한 우크라 무인보트…가까스로 막았다(영상)

작성 2023.05.25 10:49 ㅣ 수정 2023.05.25 11:14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러시아 국방부는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흑해함대 ‘이반 쿠르스함’(사진 왼쪽)을 무인 쾌속정(사진 중앙)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흑해 정찰선을 무인기(드론)으로 공격하려다 실패했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24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했다. 

이고르 코나센코프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5시 30분경, 우크라이나군이 튀르키예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가스관 안전 보장 임무를 수행하는 흑해함대 ‘이반 쿠르스함’을 무인 쾌속적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고속무인정 3척은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북동쪽으로 140㎞ 떨어진 흑해 공해상에서 임무 중인 이반 쿠르스함으로 돌진했으나, 모두 파괴됐다. 

확대보기
▲ 러시아 국방부는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흑해함대 ‘이반 쿠르스함’을 무인 쾌속정(사진 중앙)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확대보기
▲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군이 흑해함대 ‘이반 쿠르스함’을 무인 쾌속정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러시아 정찰선을 공습한 무인정이 폭파되는 모습
러시아 국영 언론은 우크라이나의 고속 무인정 한 척이 수면을 가로질러 러시아 정찰선을 향해 진격하는 모습의 동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공개된 영상은 러시아 정찰선이 고속 무인정을 발견한 직후 사격을 시작했고, 이후 정찰선에서 불과 몇 m 떨어진 곳에서 불덩어리가 되는 고속 무인정의 모습을 담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 측은 무인기를 확인한 정찰선이 즉시 회피 기동을 시작했고, 뒤이어 무인정을 향해 사격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은 해당 고속 무인정이 민간 선박에서 발사됐다는 초기 보고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근거로 러시아는 자국 정찰선을 노린 고속 무인정 공격의 배후에 우크라이나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이번 일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확대보기
▲ 러시아 흑해함대 ‘이반 쿠르스함’ 자료사진
이번에 공격을 받은 정찰선 이반 쿠르스함은 러시아에서 가장 현대적인 군함으로 꼽힌다. 2013년 건조 후 2018년 러시아 해군에 인도됐다. 정찰·전자전, 미사일방어시스템 추적·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정보수집함으로, 배수량 4000t, 길이 96m, 함폭 16m 규모로 최대 항속거리는 1만 2800㎞로 알려져 있다. 

한편 러시아 정찰선이 공격받은 것과 별개로,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크름)반도에서 희뿌연 연기가 솟아오르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도 공개됐다. 

확대보기
▲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크름)반도에서 희뿌연 연기가 솟아오르는 모습이 24일(현지시간) 공개됐다
러시아 행정부의 한 소식통은 크림반도의 케르치 해협 대교가 ‘훈련’을 위해 몇 시간 동안 폐쇄됐다가 24일에 다시 개통됐다고 밝혔다. 일명 크림대교로 불리는 이 다리는 아조우해 북부에서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러시아가 임명한 세르게이 악쇼노프 크림 자치공화국 수장은 “이 지역(크림대교)에서 훈련이 있어 잠시 폐쇄됐으며 몇 시간 안에 복구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정확히 어떤 종류의 훈련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 3일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크림대교 인근 석유 저장 창고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던 만큼, 크림대교에서 목격된 광경이 우크라이나군의 공습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놀다 주웠는데 ‘유물’…노르웨이 8세 소녀, 3700년 전
  • “지구에 ‘새로운 달’이 생겼다!…1500년간 머물 예정”
  • “한국남자와 사귄다”…태국 아내의 질투심 유발이 비극 낳았다
  • ‘후쿠시마산 요리’ 먹이겠다는 일본, 정상들에게 나눠준 ‘물
  • 튀르키예 5세대 전투기 ‘칸’으로 명명…순항할까
  • 여성형 로봇과 키스하는 일론 머스크 사진 알고보니 ‘AI가
  • “내 발 냄새인줄”…中호텔 침대 아래서 시체 발견
  • 짧은 원피스 입고 무릎 꿇은 중국 女승무원… ‘과도한 응대’
  • 현대판 몸종?…월 2700만 원 ‘가사도우미’ 채용 논란 그
  • 역대 ‘가장 무서운 우주 사진’…우주에서 새처럼 날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