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NN 방송과 우크라이나 매체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에 따르면, 시르스키 사령관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우크라이나 최전방 부대 방문 소식과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시르스키 사령관은 해당 게시물에서 “적(러시아군)들은 바흐무트 방면에서 계속해서 상당한 손실을 입고 있다”고 전황 일부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국방군은 계속해서 싸우고 있다.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고 우크라이나군의 승리를 자신했다.
그의 발언은 전날 러시아 민간 용병 기업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자신의 용병 99%가 바흐무트에서 철수했다며 러시아 정규군이 이 도시에서 임무를 계속하게 된다고 밝힌 뒤 나왔다.
바흐무트는 지난해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사이 최대 혈투가 벌어진 곳 중 하나로 꼽힌다.
바흐무트 전투를 주도한 바그너 그룹의 프리고진은 최근 바흐무트를 점령했다며 승리를 선언했지만,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도시 남서쪽 외곽 지역에 계속 거점을 두고 있다며 도시는 아직 함락되지 않았다고 반박해왔다.
현재 바흐무트 안팎 전선은 대체로 변화가 없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초 바그너 용병 부대들이 바흐무트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진군하는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도시의 북서쪽과 남서쪽 고지에서 일부 영토를 획득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이날 일일 작전 현황 보고에서 바흐무트에서 서쪽으로 6㎞ 거리에 있는 작은 마을 이바니우스케 근처에서 러시아가 시도한 공세적 행동이 실패했다고 밝혔다. 이바니우스케는 바흐무트와 이 도시의 서쪽 고지대인 차시우야르를 연결하는 중요 도로를 가로지른다.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군이 차시우야르와 도시 남서쪽의 빌라호르 근처에 공습을 가하고 또 다른 도네츠크 마을인 드루즈키우카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바그너 수장, 러 벨고로드주에 용병 투입 시사
러시아의용군단(RVC)과 러시아자유군단(FRL)이라는 이들 단체는 지난달 22일부터 우크라이나에서 국경을 넘나들며 교란 작전을 벌이면서 러시아군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바그너 수장 프리고진은 벨고로드주에 바그너 용병 부대들을 투입시킬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프리고진은 이날 텔레그램에 러시아군 지휘부가 바흐무트에서 바그너 그룹에 충분한 탄약과 포탄을 제공하지 않았고, 벨고로드에서도 고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러시아 국방부가 현재 벨고로드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태를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면 바그너 ‘전사들’을 투입해 러시아 국민들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국방부의 초대를 기다리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러 국방부의 공식 요청 없이도 벨고로드에서 러시아 반체제 단체를 상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