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서부지역에 있는 석유저장시설이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드론 공격을 받고 폭발했다.
22일(현지시간) 키이우인디펜던트 등 우크라이나 현지 언론은 “이날 오전 1시 전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오룔주(州)의 석유저장시설을 공격해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오룔주에 있는 연료 및 에너지 인프라 시설을 표적으로 하는 드론 수십 대를 보냈고, 이중 일부가 석유저장시설과 충돌했다. 이번 공습으로 인한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화재는 우크라이나 공습 후 약 7시간 후에야 진압됐다.
이번 공격은 우크라이나 드론이 같은 석유 저장시설을 공격해 큰 화재가 발생한지 일주일 만에 이뤄졌다. 당시 화재는 며칠 동안 지속됐는데, 이로 인한 피해 복구가 채 완료되기도 전 또 다시 공습이 가해졌다.
오룔주의 이 석유 저장시설은 러시아 군대에 연료를 보급하는데다, 러시아가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등 유럽으로 석유를 보낼 때 사용하는 드루즈바 송유관과도 연결돼 있어 러시아의 중요시설로 꼽힌다.
앞서 우크라이나 총참모부는 지난 14일 이 석유 저장시설을 공격한 후 “스탈노이콘 마을에 있는 이 저장소는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석유 제품 터미널 중 하나이며, 러시아군에 석유 제품을 공급하는 군수 산업 단지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주로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로 석유를 보낼 때 사용하는 이 석유 저장시설에 대한 이번 공습이 러시아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에 대한 보복이라는 해석도 내놓는다.
우크라이나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뒤 줄곧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요청해 왔으나, 친 러시아 성향의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는 이를 반대해 왔다.
일부 나토 회원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나토 가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22일 수도 키이우에서 자국 외교관을 모아놓고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초청과 동맹 가입은 정치적 결정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우리는 모두 이해하고 있다”며 나토 가입을 위한 외교 총력전을 지시했다.
지난 19일에도 젤레스키 대통령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뒤 “미국과 유럽이 함께해야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막고 우크라이나를 구할 수 있다. 유일한 효과적인 안전 보장은 나토 회원국 가입”이라고 호소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