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슨 폴록의 1949년 작 ‘수평적 구조’는 물감을 떨어뜨리는 드리핑 기법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폴록은 캔버스를 이젤에 세워두고 붓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두고 작품을 만들어갔다.
폴록은 캔버스 위를 걸어 다니며 물감을 뿌리거나 떨어뜨려 그림을 완성했다. 물감층 위에 또 다른 물감층이 쌓여 켜켜이 층을 이룬다. 물감은 거미줄이나 그물망처럼 얽히고설킨다. 이 작품들은 오로지 중력의 작용으로만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런 작품들은 밑그림도 없고 예비 드로잉 작업도 없다. 다만 무의식 상태에서 손이 가는 대로(자동기술법), 몸이 가는 대로(액션페인팅) 그렸을 뿐이다. 자유로운 몸짓과 의식의 흐름대로 그리다 보니 이 작품은 위아래, 앞뒤, 안팎의 구분이 없다. 따라서 이 작품은 무한대로 확장하려는 성격을 지닌다.
우주를 만든 놀이터가 된 스튜디오폴록과 리 크래즈너는 1945년 결혼해 미국 롱아일랜드 이스트햄프턴에 주거지를 마련했다. 그들은 집에 딸린 헛간을 개조해 스튜디오로 사용했다. 이곳은 원래 낚시 장비를 보관하던 창고였다. 난방도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말 그대로 헛간이었다. 그러나 부부는 이곳에서 우주로 뻗어가는 그림을 꿈꿨다.
캔버스를 바닥에 대고 무의식적으로 물감을 뿌리면 자연히 바닥에도 물감이 묻거나 쌓이게 된다. 지금도 폴록의 작업실 스튜디오 바닥은 두꺼운 물감층이 쌓여 있다. 물감으로 범벅된 폴록의 스튜디오 바닥은 우주를 만들다 남은 흔적들이다.
1956년 폴록이 사망하자 스튜디오 문은 굳게 닫혔다. 이후 슬픔을 이겨낸 크래즈너가 이 스튜디오에서 작업하기 시작했다. 물감이 켜켜이 쌓인 스튜디오는 말 그대로 폴록과 크래즈너의 놀이터였다. 현재 부부의 스튜디오는 5월에서 10월까지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이곳에 가면 우주에서 그림을 그리는 폴록과 이를 바라보는 크래즈너를 만날 수 있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