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만큼이나 밝게 빛나는 혜성이 무려 16만 년 만에 우리 곁으로 다가왔다. 영국 BBC 등 외신은 13일(이하 현지시간) ‘혜성 C/2024 G3‘(Atlas·이하 C/2024 G3)이 이날 근일점에 접근했다고 보도했다. 근일점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C/2024 G3은 이날 태양으로부터 약 1350만㎞ 거리까지 접근했다.
C/2024 G3은 지난해 4월 5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지원하는 ATLAS(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망원경 프로젝트를 통해 처음 발견됐다. 당시만해도 C/2024 G3은 지구에서 약 6억 5500㎞ 거리였으며 이때는 극히 희미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금성만큼이나 밝게 빛날 것으로 추정되지만, 혜성의 특성상 가시성과 밝기는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우리에게는 아쉽게도 지구 북반구보다 남반구에서 육안 관측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C/2024 G3의 화려한 모습은 지상에서도 우주에서도 전문가의 솜씨로 포착됐다. 지난 11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는 지구를 배경으로 특유의 꼬리를 길게 늘어뜨리며 이동하는 C/2024 G3의 모습을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에 공개했다. ISS에서 관측한 혜성의 모습이 인상적인 이 사진을 공유하며 그는 ’궤도에서 혜성을 보는 것은 정말 놀랍다‘고 적었다.
‘태양계의 방랑자’로 불리는 혜성은 타원 혹은 포물선 궤도로 정기적으로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천체를 말한다. 소행성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행성이 바위(돌) 등으로 구성된 것과는 달리 혜성은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혜성이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면 내부 성분이 녹으면서 녹색빛 등의 아름다운 꼬리를 남긴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