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노래한 한국의 전통 시조 11편이 미국 우주선을 타고 달을 향해 날아올랐다.
15일 오전 1시 11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민간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무인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이륙했다. 팰컨9 로켓에 실린 블루 고스트는 지름 3.5m, 높이 2m 크기 우주선으로, 45일간 지구와 달의 궤도를 돌다가 3월 초 달에 착륙할 예정이다.
블루 고스트는 달에 안착한 뒤 2주 동안 달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위성 항법 실험과 달의 방사선 환경 측정, 달 토양 수집·분류 등을 할 도구들이 탑재됐다.
아울러 전 세계 예술작품을 달에 전달하는 임무를 실행한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블루 고스트 발사에 앞서 ‘루나 코덱스’ 프로젝트를 추진해 전 세계 4만여 예술가가 만든 그림, 글, 음악, 영화 등 예술 작품 25만점을 수집했다. 이 작품들은 모은 니켈 필름 같은 소재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새기거나 디지털화해 메모리카드에 담아 우주선에 실었다.
이중 시집인 ‘폴라리스 트릴로지’에는 해, 달, 별을 주제로 한 한국 시조 11편이 포함됐다. 한글 작품은 ‘달에게’(구충회), ‘운석의 꿈’(김달호), ‘은하’(김흥열), ‘신비한 하늘 시집’(박헌오), ‘강촌의 달’(서관호), ‘해를 안고 오다’(이광녕), ‘월광 소나타’(최은희), ‘칠월칠석날’(채현병) 등 8편이다. 여기에 루시 박 세종문화회 사무총장과 그의 자녀가 쓴 영문 번안 시조 3편이 들어있다.
블루 고스트의 착륙 지점은 달의 북동쪽 평야인 ‘위난의 바다’로 설정돼 있다. 달 앞면에 보이는 옥토끼의 뒤통수 부분인 위난의 바다는 달 지형 중 가장 원에 가까운 동그란 형태를 하고 있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