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취임 후 첫 전화통화 상대 국가가 사우디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의 대중동 기조를 엿보게 했다.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보도자료에서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의 통화가 이뤄졌으며, 두 정상이 중동지역의 안정을 도모하고 지역 안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테러와 싸우기 위한 노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향후 4년간 사우디의 국제 경제에 대한 야심,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상호 번영을 위한 무역이나 기타 협력 기회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국영통신은 빈 살만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사실을 전하면서, 빈 살만 왕세자가 투자와 무역 확대에 4년간 6000억 달러(약 860조원)를 투자할 의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빅 머니’ 모으기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취임식 직후에도 사우디를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벌 오피스(대토령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미국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는 영국이었지만, 이번에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할 예정”이라면서 “그들이 미국산 제품을 45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영국을 선택하는 것은 오랜 전통이자 관례였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1기 취임 당시 영국을 방문했으나, 당시 그의 방문은 ‘국빈 방문’이 아닌 ‘실무 방문’으로 진행됐다. 당시에도 국빈으로서 처음 방문한 해외 국가는 사우디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도 관례를 깨고 중동 지역을 선택함으로써, 향후 미국의 대(對)중동 정책이 조 바이든 전 행정부와는 다를 것이라는 예측이 쏟아졌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두 나라가 이전보다 훨씬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