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신원불명의 유해를 인질 여성의 시신이라며 이스라엘에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스라엘군은 20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아부카비르 국립법의학 연구소의 DNA 검사 결과 이날 하마스로부터 인계한 인질 시신 4구 중 한 구가 신원불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하마스는 인질로 잡혀 있다가 사망했다는 시리 비바스(납치 당시 32세)와 두 아들 아리엘(4)·크피르(생후 10개월), 오데드 리프시츠(84) 등 4명의 시신을 휴전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에 보냈다. 시리의 시신은 확인되지 않은 것이다.
가자지구 인근 니르오즈 키부츠(마을)에 거주했던 시리와 두 아들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남부 기습 공격 당시 납치됐다. 이 마을 주민 400명 중 4분의 1가량이 목숨을 잃거나, 인질로 잡혀갔다. 생후 10개월이었던 크피르는 하마스에 끌려간 모든 인질 중 가장 어렸다.
하마스는 이들을 납치한 뒤 한 달가량 지나자 “시리와 두 아들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측은 이번에 넘겨받은 이 아이들이 검사에서 하마스에 살해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하마스의 이런 비윤리적인 행동은 이스라엘 여론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하마스는 생존한 인질을 석방하는 과정에서도 군중 행사를 열고 감사 인사를 강요해 비난받았다. 이 때문에 다음 달 2일 휴전의 첫 단계가 만료된 뒤 전쟁을 재개하자는 이스라엘 내부 여론도 적지 않다.
지난달 도출된 휴전 협정으로는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1단계로 6주간 교전을 멈추고 인질과 수감자를 교환하면서 이스라엘 군인 석방과 영구 휴전 등 2·3단계 휴전 논의를 시작하게 된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수감자 약 1500명을 석방하는 조건으로 하마스는 인질 33명을 풀어주기로 약속했다. 이중에 시신 8구가 포함된다.
한편 시리의 남편이자 두 아이의 아버지인 야르덴은 가족과는 별개로 하마스에 납치됐다가 휴전협정에 따라 지난 1일 석방됐다. 그는 자신의 아이들을 시신으로나마 되찾긴 했으나 여전히 생사조차 모르는 아내가 돌아오길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고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