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나는 공룡시대 기생충”…9900만 년 전 호박서 고대 말벌 발견 [핵잼 사이언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호박 속에서 발견된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Sirenobethylus charybdis). 사진=Qiong Wu


공룡이 돌아다니던 시절 다른 곤충 몸에 알을 낳는 기생 말벌이 ‘영원한 무덤’ 속에서 발견됐다. 지난 2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9900만 년 된 호박(琥珀) 속에서 오래전 멸종된 고대 말벌 16마리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그리스 신화의 바다 괴물 카리브디스에서 이름을 따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Sirenobethylus charybdis·이하 S. 카리브디스)로 명명된 이 말벌은 특유의 복부 기관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여닫을 수 있는 복잡한 구조의 세 가지 덮개가 있는데, 그 안은 털과 같은 강모가 노 모양의 구조를 형성해 시각적으로 파리지옥이 연상된다. 파리지옥은 대표적인 식충식물로 입을 벌리고 기다리다 파리 등 곤충이 들어오면 입을 닫아버리는 것이 특징이다.



확대보기
▲ 호박 속에서 발견된 ‘시레노베틸루스 카리브디스’(Sirenobethylus charybdis). 사진=Qiong Wu


실제로 S. 카리브디스 역시 이런 기생 말벌인데, 숙주용 곤충을 잡아 특유의 복부로 고정한 뒤 그 몸에 알을 낳고 생체 내부를 먹으며 성장하다 마지막에는 숙주까지 죽인다. 연구를 이끈 덴마크 자연사 박물관과 중국 수도사범대학 연구팀은 “과거 미얀마 북부에서 발견된 호박을 마이크로 CT 분석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서 “S. 카리브디스의 복부 기관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곤충과도 다르며, 알을 낳는 동안 숙주의 복부를 일시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대 말벌의 영원한 무덤이 된 호박은 나무의 송진 등이 땅 속에 파묻혀서 수소, 탄소 등과 결합해 만들어진 광물을 말한다. 호박이 일반인에게 알려진 것은 영화 ‘쥬라기 공원’ 덕으로 오래 전 멸종한 고대 동물의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인 ‘비엠씨 바이올로지’(BMC Biology) 최신 호에 게재됐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WIG 연예/이슈/라이프

추천! 인기기사
  • “아내가 여행 가서 가능”…6~14세 딸 강간·촬영·공유한
  • 50대 아동부 장관 “15세 소년과 성관계, 임신-출산 인정
  • 美 여행 한국인 여성 3명 실종…‘22중 연쇄 추돌사고’가
  • 공중서 ‘쾅’…프랑스 공군 곡예비행팀 에어쇼 연습 중 충돌
  • 점령할 때는 좋았는데…결국 우크라이나에 ‘수렁’ 된 러 쿠르
  • “푸틴은 곧 죽는다. 이건 팩트”…끊이지 않는 ‘예언’, 증
  • 손 잘린 시신 9구, 고속도로에서 발견…“카르텔 조직의 ‘보
  • 총 850m 교량으로 탱크 상륙…위성으로 본 대만 침공용 中
  • “어떤 곳이든 30분내” 美 차세대 ICBM ‘센티넬’ 지상
  • “검사하게 옷 벗고 뛰세요” 여성 환자 불법 촬영한 의사 체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