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랑우탄들이 휘파람 소리를 내는 것이 초기 언어 발달 모습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아이오와 대형유인원신탁(Great Ape Trust of Iowa)의 연구팀은 “오랑우탄이 가르쳐 주지 않아도 사육사가 내는 휘파람 소리를 배우고 자신의 의지대로 사용한다.”며 “이는 인간의 언어진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국제 영장류 저널 Primates 최신호를 통해 주장했다.
서지 위츠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미국 스미스소니언 국립동물원에서 살고 있는 오랑우탄 들의 언어발달 모습을 관찰했다. 오랑우탄들은 사육사의 모습을 흉내 내 특별히 가르쳐 준 적 없는 휘파람을 불 뿐 아니라 휘파람 소리를 내 자신의 의사를 표현했다.
위츠 박사는 “먹이와 같은 보상물 없이 자신의 의지로 휘파람을 언어로 사용했으며 특히 같은 오랑우탄이 아닌 인간에게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휘파람소리를 길게 내거나 톤을 바꿔서 내면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고 설명한 뒤 “이는 초기 인간의 언어 모습과 흡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데일리사이언스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