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영화를 본 중국네티즌 사이에서는 자국 기업들의 간접광고(PPL)에 찬반논란까지 일고 있다.
해외언론은 ‘트랜스포머3’에 등장하는 중국기업 제품을 4가지로 파악하고 있다. 극중 주인공이 입는 Meters/bonwe사의 ‘MTEE’ 셔츠와 가전회사 TCL의 3DTV, 레노버 PC 그리고 한 음료회사의 우유(Yili milk)다. 특히 레노버 PC는 극중 5차례나 클로즈업돼 상품을 선전했다.
삼성, LG 등 국내 대기업의 제품도 종종 할리우드 영화 속에 간접광고로 등장했으나 최근에는 중국 기업들의 공세가 강화된 느낌이다.
특히 영화 속에서 배우 왕은 “다 마실때 까지 기다려.”라며 중국 우유제품을 길게 노출한다. 왕 역은 중국인으로 설정되었으나 사실 한국계 배우인 켄 정이 연기했다.
중국 네티즌이 이같은 자국 기업 PPL에 찬반 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그 방식 때문. 대체로 중국 네티즌들은 “할리우드 대작에 중국 브랜드가 등장하는 것이 감개무량하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일부 네티즌들은 “주인공이 1분 이상 MTEE 셔츠를 입고 있는 장면을 비추거나 대놓고 우유를 먹는 장면은 너무 티난다.”는 반응이다.
트랜스포머 시리즈가 ‘대놓고’ PPL을 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영화 전 시리즈에 흐르는 자동차 GM의 제품이 대표적이며 LG도 ‘트랜스포머2’에서 주인공이 들고 있는 휴대전화를 간접광고 한 바 있다. 또 이번 시리즈에도 ‘더블에이’의 복사지 PPL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지난달 29일 국내에서 개봉한 트랜스포머3는 8일 만에 400만명을 넘어서며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