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정벌레와 개미와의 특수 공생관계는 수천만 년 전부터 이미 시작됐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닷컴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 컬럼비아 대학 연구진이 인도 열대우림 지역에서 5200만년 간 호박 화석 속에 굳어진 개미 공생 딱정벌레를 발견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로토클라비거 트라이코덴스(Protoclaviger trichodens)라는 학명의 이 딱정벌레는 오늘 날 개미동물(myrmecophile animals)군의 최초 조상으로 유력하게 추정된다. 개미동물은 개미 소굴에 함께 거주하면서 밀접한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동물들을 말하는데 주로 나비, 진딧물, 깍지벌레, 딱정벌레들 중 일부 종이 이런 특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의 공생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진딧물은 몸 분비물을 개미에게 식량으로 제공하고 개미는 이 진딧물의 알을 추운 겨울동안 소굴 안에서 잘 돌봐 봄에 부활시킨 뒤 다시 이 유충을 식물로 옮겨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담흑부전나비는 유충 때 개미들의 집중보호를 받으면서 안전히 성장하고 유충에서 자연 분비되는 물질을 개미가 다시 식량으로 사용한다.
이 딱정벌레의 경우는 클라비제리테(Clavigeritae) 그룹으로 분류되는데 총 370종이 현재까지 존재한다. 보통 딱정벌레와는 외형적으로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특히 개미와 특수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주로 개미집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해주고 그 대신 개미들로부터 여러 가지 식량을 제공받는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이 딱정벌레의 최초 출현시기는 신생대 에오세(Eocene epoch)로 지금으로부터 거의 5000만년 전이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자연사 박물관 선임 연구원 겸 딱정벌레 전문가 조셉 파커는 “이는 신생대부터 개미와 특수공생관계를 맺었던 곤충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연구결과”라고 설명했다. 딱정벌레의 개미에 대한 짝사랑은 생각보다 훨씬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2일자에 게재됐다.
사진=J. Parker/AMNH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