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논란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끊이지 않는 화두 중 하나다. 각계각층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한 국가가 추진해야할 복지정책의 명확한 방향을 설정했다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영국 런던정경대학의 로드 리차드 레이야드 박사 연구진은 영국과 미국, 호주 등 4개국 국민의 건강 및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이나 불안감 등 심리적 장애를 치료했을 때 심리적 고통이 20%까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경제적인 어려움, 즉 가난이 경감됐을 때 줄어드는 심리적 고통은 5%에 불과했다.
연구를 이끈 레이야드 박사는 “과거에는 국가가 빈곤과 실업, 교육, 그리고 신체건강에 집중했다면, 지금은 가정폭력이나 알코올 중독, 우울증과 불안장애 등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면서 “호주나 영국, 일본과 미국 등지의 국가가 경제 형편이 나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가 꾸준히 낮아지는 원인은 개개인의 정신적 건강을 지키는데 소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50년 동안 사람들의 평균 임금은 2배로 증가했지만 행복지수도 2배로 높아진 것은 아니다”라며 “행복한 성인의 삶은 어린 시절 학업의 자질이 아닌 정신적 건강에서 기인한다. 학교 등 국영기관이 불안장애와 정신 건강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가의 새로운 역할이 국민의 부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웰빙’을 창조하는 것이며, 소득수준보다 사회적‧심리적 요소가 국민 개개인의 웰빙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한편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획기적인 연구’로 높이 평가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2일 런던정경대학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동 주최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