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인간은 도구를 사용해 평균 무게 450㎏ 이상의 거대 동물을 비교적 쉽게 사냥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거대 동물이 점차 멸종한 약 3만 년 전 몸집이 90%까지 줄어든 작은 동물은 달아나는 속도가 빨라 우리 조상은 더욱더 정교하고 과감한 사냥 방법을 터득해야 했다. 이는 인간의 인지 능력을 더욱더 높게 발달하도록 해 뇌의 용적을 650㏄에서 1500㏄까지 두 배 이상 커지게 했다고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진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연구 주저자인 미키 벤도르 박사는 “인간이 서로 협력해 작은 동물을 쫓으며 사냥하던 방식은 움직임과 사고 과정 모두에서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뇌의 기능에 장기적으로 진화적인 압박을 가했다. 포식자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아 매우 빠르게 도주할 수 있는 작은 동물을 사냥하려면 더 정교한 사냥 도구뿐만 아니라 추격에 적응하는 능력이 필요했다”면서 “빠른 추적은 동물의 행동에 관한 지식, 즉 더 큰 기억 장소에 저장해야 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빠른 의사 결정을 요구했기에 인지 활동 역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인간은 동물들의 크기가 줄어들기 시작했을 때 이들 동물을 사냥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를 길들이고 활 및 화살과 같은 다른 무기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석기시대 말기에는 동물의 크기가 훨씬 더 작아졌다. 이는 인간이 사냥감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쓰도록 강요했다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 동물을 사육하고 식물을 재배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었다. 이는 실제로 농업혁명이 일어났을 때라고 벤도르 박사는 지적했다. 그는 “인간이 영구적인 정착지로 이주해 농부가 되면서 뇌의 크기는 현재의 1300~1400㏄로 줄어들었다”면서 “이는 사육 재배한 동식물이 사라지지 않는 상황에서 더는 사냥에 뛰어난 인지 능력을 할당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란 바르카이 텔아비브대 교수도 “인간의 뇌는 700만 년간 세 배까지 성장했지만, 침팬지의 뇌는 비슷한 크기로 남아 있다”면서도 “호모 에렉투스든 호모 사피엔스든 간에 인간이 출현한 곳에서는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거대 동물의 멸종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거대 동물에 의존한 사냥 방식은 대가를 치렀다”면서 “우리의 근연종인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다른 종은 거대 동물이 멸종하면서 적응하지 못해 함께 사라졌지만 호모 사피엔스는 농업에 의존해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엘스비어가 발행하는 국제제4기학연합(INQUA) 동료검토 학술지 ‘쿼터너리 인터내셔널’(Quaternary International) 최신호(2월 19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